2023년 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전환의 시대와 젠더 : 기후위기, 에코페미니즘, 여성농민
- 일시
- 149회 - 2023/03/21(화)
- 발표
- 김은희 (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)
- 주제
- 기후위기 시대의 돌봄민주주의 : 대안적 정치체제와 탈성장 전환의 모색
- 일시
- 150회 - 2023/04/18(화)
- 발표
- 박혜영 (인하대 영어영문학과 교수)
- 주제
- 생태위기와 에코페미니즘의 '젠더'론 : 젠더의 저항성 회복을 위한 모색
- 일시
- 151회 - 2023/05/16(화)
- 발표
- 정숙정 (충북대 교양교육본부 초빙교수)
- 주제
- '여성X농민'의 교차성 :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
2022년 가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포스트휴먼과 페미니즘
- 일시
- 146회 - 2022/09/20(화)
- 발표
- 이명호 (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)
- 주제
- 인류세의 성 정치학 : 조에 평등주의와 페미니즘의 재구성
- 일시
- 147회 - 2022/10/18(화)
- 발표
- 이경란 (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)
- 주제
-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: 포스트휴먼 주체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
- 일시
- 148회 - 2022/11/15(화)
- 발표
- 주기화 (건국대 몸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)
- 주제
- 신유물론, 해러웨이, 퇴비주의
2022년 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돌봄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상상
- 일시
- 143회 - 2022/03/15(화)
- 발표
- 김희강 (고려대 행정학과 교수)
- 주제
- 돌봄민주주의 :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
- 일시
- 144회 - 2022/04/19(화)
- 발표
- 문현아 (서울대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 책임연구원)
- 주제
-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모색 : 남성의 가족돌봄 사례를 중심으로
- 일시
- 145회 - 2022/05/17(화)
- 발표
- 백영경 (제주대 사회학과 교수)
- 주제
- 커먼즈와 복지 : 사회재생산 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시론
2021년도 가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4차산업혁명과 교육 : 학교와 대학교육 변화의 사회적 의미
- 일시
- 140회 - 2021/09/28(화)
- 발표
- 최성수 (연세대 사회학과 교수)
- 주제
- 교육과 공정성 : 능력주의와 기회불평등 사이의 흔들림
- 일시
- 141회 - 2021/10/19(화)
- 발표
- 안종석 (서울대 한국행정연구소 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센터 전임연구원)
- 주제
- 학교교실 디지털화 정책과 교육 / 정보사회학적 쟁점
- 일시
- 142회 - 2021/11/16(화)
- 발표
- 엄혜진 (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)
- 주제
- 우리 시대 '성평등-교육'은 왜 페미니즘-교육과 반목하는가?
2021년도 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전환의 시대, 커먼즈(Commons)를 향한 새로운 상상
- 일시
- 137회 - 2021/03/16(화)
- 발표
- 정영신 (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)
- 주제
- 한국의 커머즈론의 쟁점과 커먼즈의 정치
- 일시
- 138회 - 2021/04/20(화)
- 발표
- 홍덕화 (충북대 사회학과 교수)
- 주제
-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이상과 현실: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중심으로
- 일시
- 139회 - 2021/05/18(화)
- 발표
- 이승원 (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)
- 주제
- 도시 커먼즈와 민주주의: 도시 커먼즈 운동의 특징과 동학에 관한 이론적 고찰
2020년도 가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21세기 한국 여성영화의 상상력: 여성에 대한 기억과 재현
- 일시
- 134회 - 2020/09/22(화)
- 발표
- 김소영 (<망명3부작> 영화감독, 한예종 영상원 교수)
- 주제
- 기억과 약속: 녹아내리는 시대의 여성장과 여성영화 <고려 아리랑: 천산의 디바>, <SFdrome: 주세죽>
- 일시
- 135회 - 2020/10/6(화)
- 발표
- 한가람 (<아워바디> 영화감독)
- 주제
- 몸의 솔직함에 대하여
- 일시
- 136회 - 2020/10/20(화)
- 발표
- 김희정 (<프랑스여자> 영화감독,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)
- 주제
- 살아남은 자의 슬픔: 재난이 창작자에게 미치는 영향, <청포도 사탕>과 <프랑스여자>를 중심으로
2019년도 가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4차 산업혁명, 여성노동 그리고 기본소득
- 일시
- 131회 - 2019/09/17(화)
- 발표
- 홍찬숙 (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강사)
- 주제
- 노동 4.0인가, 제2노동세계인가? : 노동 4.0의 산업사회 관점 및 그 한계
- 일시
- 132회 - 2019/10/15(화)
- 발표
- 이다혜 (서울대 고용복지법센터 연구위원)
- 주제
- 4차 산업혁명과 여성의 노동: 디지털 전환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
- 일시
- 133회 - 2019/11/19(화)
- 발표
- 박이은실 (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연구원)
- 주제
- 페미니스트 기본소득 논의의 지평확장을 위하여: 고용, 노동 중심 논의에서 성적 주체성 실현 문제를 포함한 논의로
2019년도 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제4차 산업혁명과 젠더: 인간-로봇의 관계와 인간향상기술
- 일시
- 128회 - 2019/03/19(화)
- 발표
- 송성수 (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)
- 주제
- 산업혁명의 역사적 전개와 4차 산업혁명론의 위상
- 일시
- 129회 - 2019/04/16(화)
- 발표
- 임소연 (숙명여대 글로벌거버넌스 연구소 연구교수)
- 주제
- 아름다움의 불안한 생산: 다루기 힘든 몸, 수술 불안 그리고 보이지 않는 보살핌
- 일시
- 130회 - 2019/05/21(화)
- 발표
- 이강원 (인천대 일어일문학과 교수)
- 주제
- 센스 & 센서빌리티: 안드로이드(로봇)의 관점과 나름의 인간
2018년도 가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문학의 눈으로 본 젠더
- 일시
- 125회 - 2018/09/18(화)
- 발표
- 김경연 (부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)
- 주제
- 1920-30년대 여성잡지와 근대 여성문학의 교통
- 일시
- 126회 - 2018/10/16(화)
- 발표
- 오태영 (동국대 다르마칼리지 교수)
- 주제
- 해방기 젠더 정치와 맨스플레인: 정비석, 김동리, 염상섭 장편소설을 중심으로
- 일시
- 127회 - 2018/11/20(화)
- 발표
- 박선경 (한라대 교양과정부 교수)
- 주제
- 페미니즘 이론과 문학에서의 '여성성' 변이와 증식과정: 정이현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
2018년도 봄학기 계명여성학세미나

4차 산업혁명시대: 인간, 사물 그리고 패러다임의 전환
- 일시
- 122회 - 2018/03/20(화)
- 발표
- 김환석 (국민대 사회학과 교수)
- 주제
- 인간중심적 사회과학을 넘어서 : 신유물론 패러다임
- 일시
- 123회 - 2018/04/17(화)
- 발표
- 최명애 (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박사후연구원)
- 주제
- 인류세의 인간과 자연: 비인간지리학을 통한 사회-환경 관계의 혁신
- 일시
- 124회 - 2018/05/15(화)
- 발표
- 도승연 (광운대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)
- 주제
- 푸코(Foucault)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 시티를 사유하기